정치 사회 경제

유럽의 여름, 폭염과 함께하는 새로운 일상

devnemo 2025. 7. 2. 10:22

유럽 폭염: 심각성, 원인, 그리고 대비

유럽은 현재 역대급 폭염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일부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이 중단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유럽의 폭염 수준

  • 기록적인 고온: 유럽은 초여름부터 전례 없는 폭염을 겪고 있으며, 남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기온이 46°C를 넘어 6월 최고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인명 피해: 세계보건기구(WHO)는 즉각적인 대응이 없을 경우 수만 명의 불필요한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실제 나흘간 4,500명 이상의 초과 사망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며, 매년 유럽 도시에서 17만 5천 명 이상이 폭염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 프랑스에서는 강물 온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냉각수를 방류할 경우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부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이 일시 중단되었습니다.
  • '열돔' 현상: 이번 폭염은 북아프리카에서 형성된 고온 건조한 고기압인 '열돔' 현상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 '뉴노멀'로 자리 잡은 폭염: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1년 간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5°C 상승하여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서 정한 한계치를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폭염이 더 이상 극단적인 현상이 아닌 '새로운 표준(New Normal)'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폭염이 심해지는 이유와 앞으로의 가능성

폭염이 심해지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구 온난화: 지속적인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 엘니뇨 현상: 엘니뇨 현상 또한 지구 기온 상승에 기여하여 폭염을 가중시킵니다.
  • 열돔 현상: 뜨거운 공기를 가두는 고기압인 '열돔' 현상이 폭염을 장기화하고 강화시키는 요인입니다.
  • 대기 순환 둔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찬 공기와 저위도의 더운 공기가 섞이는 대기 흐름이 느려지면서 이상 기후가 심화됩니다.
  • 도시 열섬 현상: 도시는 아스팔트와 건물 등으로 인해 열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주변 지역보다 온도가 높아지는 도시 열섬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극단적인 폭염은 앞으로 더욱 심화되고 일상적인 현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더위를 피하고 있는 시민들

폭염에 노약자나 어린이 유의사항

폭염 시 노약자와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은 온열 질환에 특히 취약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유의사항

  • 야외 활동 자제: 낮 시간대(오후 2시~5시)에는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외출할 경우 챙 넓은 모자와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물병을 휴대하세요.
  • 충분한 수분 섭취: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충분히 마시고, 카페인 음료나 주류는 탈수를 유발하므로 피하세요.
  • 시원한 환경 유지: 에어컨이 있는 시원한 실내에 머무르세요.
  • 차 안에 홀로 두지 않기: 창문이 닫힌 자동차 안에 노약자나 어린이를 절대 홀로 두지 마세요.
  • 증상 확인 및 대처: 현기증, 메스꺼움 등 증상이 나타나면 시원한 곳으로 이동 후 휴식을 취하고, 심해지면 즉시 119에 연락하세요.
  • 가볍고 헐렁한 옷차림: 통풍이 잘 되는 가볍고 헐렁한 옷을 입으세요.
  • 찬물 샤워/목욕: 시원한 물로 자주 샤워하거나 목욕을 하여 체온을 낮추세요.

노약자를 위한 추가 유의사항

  • 안부 확인: 거동이 불편하거나 만성 질환을 가진 노인들은 친인척이나 이웃에게 부탁하여 수시로 안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무더위 쉼터 이용: 폭염이 강한 시간대에는 가까운 무더위 쉼터 등을 이용하여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성 질환 관리: 만성 질환이 있는 노인은 폭염 시 체온 조절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건강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합니다.

 

어린이를 위한 추가 유의사항

  • 야외 활동 제한: 어린이가 30분 이상 쉬지 않고 야외에서 놀지 않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 학교의 조치: 학교는 냉방장치 가동이 어렵다면 단축 수업이나 휴업 등 학사 일정을 조정하고, 식중독 예방에 주의해야 합니다.
  • 영유아 보호: 영유아는 단기간의 고온에도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로 물이나 과일 주스를 제공하고 얼굴과 목 뒤를 시원한 물로 식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기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폭염을 완전히 막기는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우리가 어떻게 폭염에 현명하게 대응하고, 건강과 안전을 지키며 여름을 보내는지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작은 실천이 모이면 더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모두가 서로를 배려하며,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