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SK하이닉스, 역대급 실적에 1인당 1억 성과금 '잭팟' 터졌다!

devnemo 2025. 9. 5. 23:33
728x90
반응형

실적 ‘잭팟’과 함께 뜨거워진 성과금 관심

최근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업계 사상 최고 수준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면서, 성과금 지급을 둘러싼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임직원들은 역대급 실적이 곧 ‘성과급 잭팟’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 들썩이고 있습니다.

 

최대 영업이익 달성 배경(HBM, AI 메모리 호황)

SK하이닉스는 2025년 상반기에만 곳곳에서 호평받는 AI 반도체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호조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빅테크 업체와의 협력, 기술 초격차 전략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새 성과금 지급 기준(영업익 10% 전액, 상한 폐지)

노사 교섭 끝에 SK하이닉스는 ‘기본급의 최대 1000%’라는 기존 성과금(초과이익분배금: PS) 상한선을 완전히 폐지하고, 앞으로 매년 영업이익 10% 전액을 성과금 재원으로 지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기준은 향후 10년간 적용됩니다.

 

1인당 예상 성과금(1억 원) 및 지급 방식

2025년 영업이익 전망치가 37조~39조 원에 달하면, 임직원(3만3000여 명)에게 1인당 평균 1억 원 이상의 성과급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급 방식은 전체 산정 금액의 80%를 올해 지급, 나머지 20%는 이후 2년에 걸쳐 각각 10%씩 분할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연도지급 기준1인당 평균(추정)비고
2023 영업익 10%(상한 有) 약 7,500만 원 상한 적용
2024 영업익 10%(상한 有) 약 8,000만 원 상한 적용
2025 영업익 10%(상한 폐지) 1억 ~ 1억3천만 원 상한 폐지, 최대폭
 

과거 지급 사례(2023~2024년)와 비교해도 이번 성과급 규모는 훨씬 파격적입니다. 기존 상한선에서는 아무리 실적이 좋아도 일정 수준 이상을 받지 못했지만 올해부터 상한이 사라지면서 최대 80% 이상 성과급 인상 효과가 나타납니다.

AI 이미지 입니다.

삼성 등 타 대기업 노사에도 미칠 파장과 인재전쟁 격화

이처럼 파격적인 성과금 제도 도입으로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에서도 노조가 성과급 투명성 강화와 보상체계 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상한 폐지’ 및 ‘영업익 10% 전액 지급’ 방식은 업계 인재 유치 경쟁에 불을 붙이고, 올해 임단협 시즌 기업 간 보상 경쟁을 한층 더 치열하게 만들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의 ‘잭팟’ 성과금은 국내 노사관계의 기준은 물론, 동종 업계의 보상 체계까지 흔들며 인재 경쟁의 새로운 판을 열고 있습니다.

728x90